
金 永 鍾, Ph.D
부산시 중구 영주동 은하맨션 #2052
hp) 010-3558-4543 email) yjkim@gombal.net
<약 력>
- 경북 경산 남천 출생
- 광주 서석국민학교 졸업 (1970)
- 경북대사범대부속중학교 졸업 (1973)
- 대구 계성고등학교 졸업 (1976)
- 경북대 사회학과, 문학사 (1977 - 1984)
- 미국 텍사스-오스틴 주립대, 사회복지학 석사(MSSW), (1984 - 1986)
- 미국 텍사스-오스틴 주립대, 사회복지학 박사(Ph.D), (1986 - 1989)
-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객원교수 (2023 - )
- 제주연구원 사회복지센터 자문위원 (2019 - )
- 한국뇌성마비복지회 부울경 지회장 (2018 - )
- 부산시공공보건의료지원단 운영위원 (2015 - )
- 사)부산사람이태석기념사업회, 이사 (2011 - )
-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고문 (2007 - )
- 한일지역복지공동연구회 한국대표 (2006 - )
- 사)부산복지전화네트워크 이사 (2004 - )
-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(1990 - 2023)
-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CCI 사업 운영위원장 (2020 - )
-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편집위원장 (2017 - 2020)
- 부산참여연대 공동대표 (2017 - 2019)
- 부산적십자사 상임위원 (2017 - 2020)
- 부산시다복동추진운영위원회 위원장 (2016 - 2018 )
- 경성대학교 법정대 학장 (2015 - 2017)
-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장 (2014)
- 부산시 사회복지위원 (2013 - 2018)
- 사회서비스포럼 위원 (2012 - 2017)
- 수영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공동위원장 (2012 - 2019)
- United Way Worldwide, Membership Accountability Committee, Member (2011 - 2014)
- 대통령소속 사회통합위원회 계층분과 위원 (2011 - 2013)
- 부산종합사회복지관, 운영위원장 (2012 - 2018)
- 한국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장 (2010 - 2012)
- 일본재단 팰로우(Japan Foundation fellow) & 일본복지대학 객원연구원 (2010 - 2011)
- 경성대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(2009 - 2010)
- 한국사회서비스학회 이사, 부회장 (2009 - 2011)
- 행정안전부 정부합동평가위원회 위원, 보건복지소위원장 (2009 - 2011)
- 기획예산처 사회통합정책관 (2007 - 2008)
- 부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(2007 - 2011)
-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브랜드사업 지도자문교수 (2007)
-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네트워크사업 운영위원장 (2006 - 2007)
- 사회복지연대 공동대표 (2006 - 2011)
-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이사, 회장 (2006 - 2008)
-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위원 (2006 - 2007)
-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보건위원회 위원장 (2006 - 2007)
- 부산여성취업지원네트워크 운영위원 (2005 - 2007)
-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교육분과위원장 (2005 - 2006)
- 아름다운 가게(부산) 운영위원, 배분위원장 (2004 - 2007)
- 부산복지전화네트워크(사) 이사, 소장 (2004 - 2007)
-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보건위원회 부위원장 (2003 - 2005)
- 경성대학교운영 남구종합사회복지관 관장 (2003 - 2004)
- 부산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이사, 배분위원장(2003 - 2005)
- 부산MBC문화네트워크 운영위원 (2002 - 2005)
- 한국자원봉사연합회 교육위원 (2001 - 2005)
-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편집위원장 (2001 - 2003)
- 부산시도시개발공사 자문위원 (1999 - 2002)
- 부산일보 시론집필위원 (1997)
- Professional Development: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inuing Social Work Education, 편집위원 (1999 - 2015)
- 미국 텍사스주립대 객원교수 (1996).
<저 서>
- 사회복지조사론 및 통계(3판, 2023)
- 사회복지조사론 (2판, 2023)
- 사회복지행정(5판, 2023)
- 사회복지개론 (2020)
- 한국의 사회서비스 : 정책 및 실천 (2019)
- 복지사회의 개발: 지역 및 공동체 접근 (2014)
-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(2013)
- 일본의 지역복지: 정책 및 방법 (역서, 平野隆之, 2012)
- 그들이 아닌 우리를 위한 복지(공저, 2011)
- 사회복지 네트워킹의 이해와 활용(공저, 2008)
- 사회복지 성과측정 기법(공저, 2007)
<연구 논문 / 발표문>
- 박사학위논문: The impact of industrialization and other social changes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South Korea [Doctoral Dissertation: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, 1989]
- "한국사회복지행정과 사회복지사: "사회복지"의 제도적 정향에서 말해본다" [기조강연,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]
- "피란수도 부산의 고아원과 고아의 삶 - 한국 사회복지의 제도적 시원에 관한 연구", 항도부산, 41(2), 2021, pp. 75-116.[DOI: https://doi.org/10.19169/hd.2021.2.41.75
- (공저) "민간투자사업 정책방향 종합연구" [KDI 2020]
- "사회보장 공급체계의 변화와 커뮤니티 케어" [경남발전연구원 커뮤니티케어 포럼 2019.6]
- "사회복지행정 20년, 전달체계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봄학술대회 기조발제]
- "사회보장 공급체계에서 광역 단위의 역할과 중앙/지방 거버넌스"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사회연구원, 제3차 지역사회보장균형발전 포럼, 2018]
- (공저) 지방분권과 복지재정 운영체계 연구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8-69]
- "사회복지법인 제도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", 한국사회복지학회, 70(4), 2018, pp. 69-92.
- "우리나라 사회서비스와 민간위탁 제도 연구", 보건사회연구, 37(2), 2017, pp. 406-442.
- "사회복지서비스와 위수탁제도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7봄학술대회 기조발제]
- (공저) "지역복지의 참여적 실행연구에서 컨셉트 매핑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: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", 한국지역사회복지학, 60, 2017, pp. 29-58.
- "우리나라 '사회복지' 전달체계와 담론적 작용: 역사적 형성과 경로, 쟁점", 한국사회복지학, 69(1), 2017, pp. 175-197.
- "공공부문 사회복지직의 정보관리 역량강화 방안", 인문사회과학연구(부경대), 18(1), 2017, pp. 307 - 334.
-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 효과성 검증 및 발전방안 연구 [사회복지행정연구회/사회복지행정학회 보고서] 2016-.
- "지방자치단체의 주민복지조직: 실태와 과제", 지방행정, vol.753, 2016. pp. 20-23.
- (공저) 보건복지인력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에 관한 연구 [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고서 2016.2]
- "한국 사회복지관의 제도적 정체성 규명에 관한 연구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7(3), 2015.pp.27-56.
- "韩国社会保障体系和福利治理", 社会建设(중국인민대학), 2(2), 2015.pp.74-86.
- "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 경로와 대안적 정향", 사회복지정책, 41(4), 2014.pp.377-404.
- "사회서비스와 사회복지사업법: 규제관계의 분석", 사회보장연구, 30(4), 2014, pp.57-83.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의미와 전망" [2014 한국복지분권협의회 심포지엄, 기조발제, 2014.10.26]
- "韩国社会保障体系和福利治理" [第六届中国社会福利研究专业委员会(南京大学) 제6차중국사회복지연구전문위원회연회(남경대), 2014.07.07, 기조발제]
- "韓國の新社會リスクに対する制度化アプローチの限界と地域福祉の代案に対するの討" [日本社会福祉学会第61回秋季大会国際学術シンポジウム, 2013.9.22]
- "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통합적 재설계" [사회서비스포럼 2014. 연구보고서](김은정 공저)
- "한국 사회서비스의 역사적 전개와 현안 과제", [2012 사회복지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, 2012.11.09]
- "한국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역사적 경로와 쟁점, 개선 방향", 보건사회연구, 32(2), 2012, pp.41-76.
- "기업의 자원봉사 지원정책의 효과", 노동정책연구, 12(2), 2012, pp.27-49.
- "새로운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과제" [사회통합위원회 주최,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정책토론회 기조발표, 2012.6.25]
- "사회복지서비스 보장을 위한 공급체계 모형" [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주제발표, 2012.6.1]
- "사회(복지)서비스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는 전달체계의 개편 방향과 쟁점" [사회복지학회/사회서비스학회 주최, 사회보장법 개정에 따른 사회(복지)서비스 정책토론회, 주제발표, 2012.3.16]
- "사회복지의 대안적 공급 패러다임으로서의 지역복지 체계와 정부의 역할" [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동계학술대회 발표]
- “새로운 사회복지 행.재정 패러다임: 중앙에서 지방으로", 그들이 아닌 우리를 위한 복지, 서울: 학지사, 2011 (공동저자)
- “한국 사회복지행정학의 역사적 평가와 과제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2(1), 2010. pp. 177-203.
- “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", [한국사회복지협의회/국회 정책토론회 기조발표], 2009.09.11
- “휴먼서비스 산업체계 모형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 동향 분석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1(2), 2009, pp.35-73.
- “사회복지행정의 학문적 흐름과 역할 : 평가와 전망" [사회복지연구회 2009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]
- “휴먼서비스 수요.공급의 산업체계적 모형 분석" [사회복지행정학회 2008 추계학회 주제발표]
- “사회복지전문직의 원인론(etiology) 분석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", 사회과학연구(경성대), 24(3), 2008, pp. 83-102.
- "韓國の地域福祉計劃策定の實態と改善方案“, 日本福祉大學社會福祉論集, 2008.6 特輯號.
- "사회정책의 좌표 설정과 MB 정부의 과제" [기획예산처 전략기획실 세미나 발표, 2008.2]
- “민간 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” [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세미나 발표, 2007.10]
- “공동모금제도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발전 방향”, 국회도서관보, 44(9), 2007
- "사회투자국가의 실천적 함의: 전달체계와 작동기제의 관점에서" [사회복지연구회 2007 하계학술세미나, 주제발표]
- "지방화와 지역복지운동의 사회심리학적 함의", 복지동향(참여연대), 104호, 2007.6.
- "한국 지역복지계획수립의 현안과 과제" [일본복지대학 지역복지계획 세미나 기조발표, 2007.2.22-24. 일본 나고야]
- "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에서의 concept mapping 적용 가능성",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, 15, 2006.겨울 (공동연구)
- "사회복지 노동시장의 현황과 과제" [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, 2006.11]
- "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" [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, 2006.6]
- "인권토론: 발전적 인권개념의 구성과 실천" [국가인권위원회 부산토론회 주제토론, 2006.6]
- "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관한 비판적 고찰", 계간 사회복지, 2006. 3
- "사회복지 재정의 지방이양과 지역복지계의 대응", 계간 복지인천, 73, 2005.
- "사회복지행정 변화의 의미와 전망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5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, 2005.5.27]
- "지방분권 정책과 지역복지의 과제" [사회복지정책 세미나 - 지방화진전에 따른 사회복지정책방향, 기조발표 2005.5.25]
- "보건복지 콜센터의 의미와 구상" 보건복지포럼, 109호, 2005
- "참여와 자치에 입각한 2006년도 부산시 사회복지예산 편성" [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예산정책토론회 기조발제, 2005.8.29]
- "Community Impact in Action: BHSN" [United Way International Asia-Pacific Conference, Beijing China, 2005.6.10]
- "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변화 전망과 과제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5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, 2005. 4]
- "복지재정의 분권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" [기조발제,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2005년도 예산토론회, 2004.8월]
- "사회복지서비스 행정조직 개편에 관한 소고", 계간 사회복지, 2004, 겨울,
- "한국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공과 민간 부문간 협력관계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6(1), 2004, pp.1-34.
- "논리모델(logic model) :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의 적용 가능성", 경성대 사회과학연구, 2003.6(특집호), pp.209-226 (책임연구)
- "한국 사회복지조직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역사적 연구: 1950-70년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0, 2003, pp.31-62.
- "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제안", [사회복지공동모금회 창립5주년 기념 심포지움 기조발표, 2003].
- "한국 사회복지에서의 공공과 민간 부문의 협력체계", [2003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].
- "부산시 사회복지정책의 과제와 방향"[한나라당부산시정책토론회 기조발표, 2002.10.31]
- "부산시 사회복지 예산편성의 기조와 변화", [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제7회 시민생활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 기조발표, 2002.8.27].
- "사회복지현장 근무자의 처우개선: 쟁점과 전략", 계간 사회복지, 153, 2002(여름), pp.7-35.
- "민간 사회복지조직의 재원이 서비스전달에 미치는 영향", 한국사회복지학, 50, 2002. pp. 209-233
- "사회복지현장 근무자의 처우개선: 쟁점과 전략" [한국사회복지협의회 정책토론회 기조발표, 2002.7]
- "노동관련 규범과 사회복지기관 운영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, 2002.5]
- "사회복지시설의 근로기준법 적용에 따른 대응방안" [부산사회복지세미나 주제발표, 2002.4]
- "지방화시대에 따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" [경상남도사회복지협의회 2001년 자원봉사자의날 기념포럼 주제발표]
- "사회복지조직들의 재정자원 수급과 서비스 전달" [한국사회복지학회 2001년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]
- "지역 사회복지서비스 조직들의 재정자원 수급 행태에 관한 연구", 한국사회복지학, 44, 2001, pp. 64-90.
- "사회복지조직 리더의 외부환경 관리 역할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3, 2000, pp.37-64.
- "사회복지조직 리더의 환경관리 역할",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0년 춘계학술발표대회 주제발표], pp.19-39.
- "한국 사회복지조직들의 혁신을 위한 과제와 조건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2, 2000, pp.75-102.
- "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work education in South Korea", Professional Development: IJCSWE, 2(1), 1999, pp.35-37.
- "한국 사회복지행정의 환경변화와 영역 과제"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, 1999, pp.13-37.
- "한국 사회복지조직들의 혁신을 위한 과제와 조건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], pp.41-76.
- "한국의 가족주의와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", 경성대논문집, 17, 1996.
- "한국적 지역사회의 성격과 복지서비스 전달체계", 사회과학연구(경성대학교), 10, 1994, pp. 73-86.
- "사회복지조직들의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", 한국사회복지학, 23, 1994, pp. 51-73.
- "청소년 문제를 보는 시각 - '가족신화'의 이념", 아동과 청소년, 8, 1992, pp. 38-51.
- "대중매체와 청소년" [부산직할시아동청소년회관 제4회 청소년문제심포지엄 발표문,1991], 아동과 청소년, 8, 1992, pp. 231-242.
- "소련사회와 사회복지의 성격: 80년대에 나타난 소련의 변화를 중심으로", 사회과학연구(경성대학교), 7, 1991, pp. 41-66.
- "한국사회의 여성문제와 사회복지 - 여성차별적 사회구조의 의미", 여성문제연구, 18, 1990, pp. 33-61.
- "부산시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제언", 시정연구(부산), 5, 1990, pp. 90-104.
< 연구 프로젝트>
- "부산 Community Collective Impact 사업 컨설팅/성과평가 (2020-2023)"
- "사회복지관 운영비기준 마련 연구" [창원시 복지재단 2021 ]
- "사회복지사 등 임금체계 기준 연구" [제주연구원 2021 ]
- "사회서비스 민간투자 기반 연구" [KDI 2020 ]
- "부산사회서비스원 설립.운영방안 연구" [부산복지개발원 2020 ]
- "부산 CCI 교육 및 컨설팅 프로젝트" [부경대/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9 - 2021]
- "지방분권과 복지재정 운영체계 연구" [보건복지부/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]
- "컬렉티브 임팩트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표준 교육과정 개발 연구 (사회복지행정)" [사회복지교육협의회/공동모금회 2017]
- "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 효과성 연구" [사회복지행정연구회 프로젝트 2016]
- "부산 사회복지관 기능전환을 위한 AR" [실무자협의체, 2015 - 2016]
- "보건복지인력의 정보활용력 강화 교육과정 연구(공동연구)" [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15 - 2016]
- "한국의 사회서비스: 정책 및 실천" [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, 2015 - 2017]
- "지역복지거점화 연구(공동연구)" [일본문부성연구프로젝트, 2014 - 2017]
- "사회서비스 공급체계 통합적 재설계" [사회서비스포럼/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, 2013] (공동연구)
-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[사회통합위원회/사회복지행정학회, 2011] (책임연구)
- 공공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 방안에 관한 연구 [사회복지행정연구회/사회복지행정학회, 2011] (공동연구)
- "사회공존을 위한 조직의 역할 분화와 통합: 인구사회학적 구조 변화와 영리.비영리조직의 대응" [SSK, 2010 ~ ] (공동연구)
- 경기도 지역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[경기도/경기미래복지재단, 2009] (공동연구)
- 한국과 외국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정책 비교연구 [경기복지재단 연구보고시리즈 2009-2] (공동연구)
- "지역복지계획 수립에 관한 평가 및 컨설팅" [보건복지가족부/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09] (공동연구)
- 지역복지계획 수립 표준안 및 컨설팅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[보건복지가족부/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, 2008] (책임연구)
- 성과기반 민간 기관 재정지원 방식에 관한 연구 [한국보건사회연구원, 2008] (책임연구)
- 사회복지서비스 공공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[보건복지가족부/한국보건사회연구원, 2008] (공동연구)
- 공적이전의 소득재분배 효과및 사회복지정책 프로그램 분석 [보건복지가족부/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, 2008] (책임연구)
- 지자체 복지종합평가의 핵심 지표 개발 연구 [보건복지가족부/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, 2008.10] (책임연구)
- "성과기반 민간 기관 재정지원 방식에 관한 소연구" [한국보건사회연구원, 2008] (책임연구)
- 민간 복지의 활성화 연구 [한국정책학회/기획예산처, 2007.12] (책임연구)
- 부산광역시 사회복지서비스 조사 및 분류체계 구축 연구 [부산시복지개발원/부산시, 2007], (책임연구)
- "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재구축에 관한 소연구" [기획예산처/KDI, 2007], (책임연구)
- 사회복지 수행체계의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[기획예산처/KDI, 2007.12], (공동연구)
-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매뉴얼 수립 연구 [보건복지부/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06 - 2007], (공동연구)
- "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복지 네크워크 사업 관리및 평가 사업" [사회복지공동모금회/사회복지행정학회, 2006-2007], (운영위원장)
- "일본복지대학 지역복지계획연구소 연구교류사업" [일본복지대학, 2006 - 2008), (한국대표위원)
- 광역시도 지역사회복지계획 매뉴얼 수립 연구[보건복지인력개발원, 보건복지부, 2006] (공동연구)
- 지방화시대의 중앙.지방간 사회복지 역할분담 방안 [보건사회연구원, 2006], (공동연구)
- 사회복지사무소 2차년도 평가보고서 [보건복지부/보건사회연구원, 2006.12] (공동연구)
- 기장군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[기장군, 2006], (책임연구)
- 거제시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[거제시, 2006], (책임연구)
- 하동군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[하동군, 2006], (책임연구)
- 사천시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[사천시, 2006], (책임연구)
-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발전적 모형에 관한 연구> [보건복지인력개발원/보건복지부, 2006] (공동연구)
- "2006년도 사회복지학교과목지침서 개정작업" [사회복지교육협의회, 2005 - 2006], (총괄위원장)
- 부산시 수영구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[수영구, 2005 - 2006], (자문위원)
- 부산진구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[부산진구, 2005 - 2006], (책임연구)
- "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평가" [보건복지부/보건사회연구원, 2005], (평가연구위원)
- "복지전화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지역사회조직 사업" [부산일보/네트워크, 2004 - 2005), (추진위원장)
- 부산시 사회복지 기초욕구 조사 I, II, III [부산시, 2004.7-2005.7], (책임연구)
-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배분사업 체계 분석과 협력관계 구축에 관한 연구 [사회복지공동모금회 조사연구 2004-02] (단독연구)
<교육 & 강연>
- "약자복지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" [부산시/지역사회보장협의체대회, 2023]
- "커뮤니티 컬렉티브 임팩트의 이해와 적용" [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9]
- "자원활동의 의미와 자원활동자의 역할" [부산시인재개발원, 재능나눔과봉사과정 2019]
- "복지환경의 변화와 사회복지 사업의 필요성" [경상북도지방공무원교육원, 사회복지실무과정 2018-3]
- "지역복지: 시대의 패러다임" [제주특별자치도 인재개발원, 읍면동장 사회복지 과정 2018-31]
- "환경 변화에 맞는 노인복지관의 기능과 역할" [부산시노인복지관협회 세미나, 2017]
- "민간협력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이해 " [부산시인재개발원 읍면동허브화과정, 2017]
- "주민복지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: 대안적 과제의 모색 " [울산시북구 사회복지정책세미나, 2017]
- "커뮤니티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과 Collective Impact " [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복지전문가양성과정, 2017]
- "지역복지 거점형 사회복지관: 이념과 실천 과제 " [부산시사회복지관협회 관장 워크샵, 2017]
- "지역복지의 정책과 전략" [제주시/부산시/경상북도/보건복지인력개발원 강의, 2016]
- "공공복지의 패러다임 변화와 전략" [전남대 특강, 2015.12.2]
- "사회복지의 이해", [울산시공무원교육, 2015.11.25]
- "한국 사회복지, 길을 묻다", [광주대학교 특강, 2015.11.5]
- "복지국가의 이해 및 복지사업의 필요성", [나눔과행복의 복지실현과정(1,2)/부산시인재개발원 2015]
- "지역복지 접근과 추진전략",[2015 사무관을 위한 복지정책핵심읽기/보건복지부.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]
- "행복학과 사회복지패러다임 변화", [제3차노인장기요양보험 포럼 특강(2015/7/23)].
- "복지정책의 현재와 미래, 그리고 사회서비스", [2015 사회서비스정책 및 전달체계의 이해/보건복지부.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]
- "사회복지 이해", [울산광역시신규임용후보자교육과정(1, 2) 2015(2)]
- "사례로 보는 복지행정의 트렌드", [사회복지행정 이해협력과정 2015/행정자치부 지방행정연수원]
- "복지환경 변화와 지역복지의 기획력", [대구시공무원교육 2015]
- "복지환경 변화와 지역복지의 기획력", [경상남도공무원교육 2015]
- "지역복지 강화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", 2014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지역대회(부산시16개구/군 공동주최) 2014.10.30.
- "최고관리자의 윤리적 경영과 리더십"[2014 불교사회복지 지도자 최고위 과정, 2014.10.31]
- "새로운 복지시대의 파수꾼: 복지통장제" [부산중구청 강연, 2014.10.24]
- "지역사회 내 자원관리와 민관협력" [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복지행정관리자과정 2014 ~]
- "사례로 보는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트렌드" [지방행정연수원 사회복지행정이해과정, 기조강연 2014.8.27]
- "지역주민 복지증진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" [지자체복지전달체계 개편추진단 교육, 2014.3.11]
- "사회적 협동조합의 역사와 함의" [동명대 특강, 2013.12.17]
- "기업과 자원봉사, 행복학" [고리원자력 사회공헌 특강, 2013.09.25]
- "한국 사회복지정책 현황과 지역의 대응" [부산수영구 2013 사회복지의 달 기념 강연, 2013.9.13]
- "사회서비스의 현황과 지역의 기획력" [충청북도 사회서비스지원단 워크샵, 기조강연, 2013.7.04]
- "사회서비스의 현황과 지역의 기획력" [경상남도 사회서비스지원단 워크샵, 기조강연, 2013.6.20]
- "복지환경의 변화와 지역복지의 기획력" [부산시 공무원교육원 강의, 2013.5.15]
- "사회서비스 수요공급 분석 및 사업계획 수립방법" [사회서비스투자사업 담당자 교육, 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13.4.9]
- "지역복지의 의미와 접근전략" [사무관 복지정책 교육, 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13.4.4]
- "지역복지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" [충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연수 특강, 2012.12.21]
- "사회복지기관의 관리 - 리더십" [남광/절영/와치 복지관 직원연수회, 2012.12.17]
- "지역복지와 민관협력" [수영구 '제2차 희망을 톡!톡!' 연찬회 강연, 2012.10.10
- "지역복지의 의미와 방향: 민관협력을 중심으로" [보건복지인력개발원, 지역복지핵심리더 교육과정, 2012.8.30]
- "지역 중심의 사회복지 마을만들기" [진주시 "좋은 세상" 연찬회 강연, 2012]
- "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대안적 패러다임 : 지역복지 체계" [한국교육개발원, 미래를 위한 교육복지 토론회 초청강연, 2011.12.23]
- "Social Welfare in Korea: Institutional Welfare vs. Community Welfare" [南京大學 社會科學硏究所 여름학기 초청강연, 2011.7월)
- "지역복지 체계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" [보건복지부 읍면동장 교육, 2011]
- "지역복지와 지역복지협의체 활성화 방안" [강연. 대구 달서구, 대구 북구, 부산 사하구, 울산 북구, 2011]
- "지역복지 실천과 연차별 지역사회복지계획"[연차별 지역사회복지계획 실무과정 교육, 보건복지부/KOHI, 2011.3]
- "지역복지의 리더십" [사회복지리더로 거듭나기, 교육, 보건복지부/KOHI, 2011.3,4,5]
- "노인복지관 조직과 인사관리" [노인복지관협회 특강, 경주, 2010.4.15]
- "프로그램 기획: 논리모델과 성과측정" [중부재단 특강, 천안, 2010.1.28]
- "휴먼서비스 체계와 조직 관리" [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기관 관리자 워크샵, 제주, 2010.1.21]
- "지역복지계획 수립과 지역복지협의체의 역할" [제주시 지역복지협의체 연찬회 특강, 2009.12.17]
- “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: 패러다임의 전환", [서울복지재단 전달체계개선방안 연구발표회 기조강연], 2009.12.7
- "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취지와 정책 방향" [광주북구 지역복지협의체 연찬회 특강, 2009.12.2]
- "지역복지네트워크의 취지와 실행" [기장복지네트워크 실무자교육, 2009.11.30]
- "휴먼서비스 체계와 사회복지기관의 관리" [울산사회복지사협회 최고관리자과정 보수교육, 2009.11.13]
- "휴먼서비스 체계와 사회복지기관, 지역복지네트워크" [북구사상네트워크 실무자 워크샵 강연, 2009.11.11]
- "휴먼서비스와 지역복지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" [남구지역사회복지관연합회 연구회, 강연, 2009.11.4]
- "사회복지 환경변화와 지역사회복지관의 방향" [남구지역사회복지관연합회 연구회, 강연, 2009.11.4]
- "사회복지 패러다임 변화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" [연제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특강, 2009.09.21]
- "사회복지 패러다임 변화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" [연제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특강, 2009.09.21]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의미와 실행" [거제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워크샵, 2009.09.10]
- "지역복지 정보화 사업의 취지와 방향" [경기도 사회복지협의회 설명회 특강, 2009.7.14]
- "프로그램 평가 검토를 위한 논리모델과 성과측정" [대전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설명회 워크샵 특강, 2009.7.7]
- "프로그램 평가 검토를 위한 논리모델과 성과측정" [경상북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설명회 워크샵 특강, 2009.7.3]
- "커뮤니티임팩트 모델의 이해와 체제 구축 방향" [2009 SB7 시소와 그네 센터 실무자 교육, 2009.7.2]
- "사회복지의 패러다임 변화와 지역복지협의체" [수영구/구례군 사회복지협의체워크샵 특강, 2009.6.12]
- "사회복지 환경 변화와 지역복지의 방향" [부산시 북구청 특강, 2009.5.6]
- "휴먼서비스 성과관리의 이해" [부산복지개발원, 성과관리 강연, 2009.4.20]
- "지역복지계획 수립의 논리모델과 성과측정" [보건복지가족부 지자체 공무원 교육, 2009.2.27, 천안 국립청소년수련원]
- "사회자본과 행복경제학: 휴먼서비스와 지역복지의 대안적 패러다임" [부산 YMCA 사회정책연구회, 2009.1]
- "지역복지와 네트워크: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과제" [북구 민관 코디네이터 교육, 2008.12]
- "휴먼서비스 성과관리의 동향과 대응" [경기도 정신보건전문가 교육, 2008.12]
- "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대응" [전주시 제2회 사회복지정책포럼, 2008.11]
- "휴먼서비스 조직과 사회복무제도 관리" [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회복무교수요원 교육, 2008.9]
- "휴먼서비스 조직과 행복학의 이해" [울산광역시 장애인복지관협회 종사자 보수교육, 2008.7]
- "사회복지 환경변화와 사회복지협의회의 대응" [전국사회복지협의회 직원연합회 강연, 경주 2008.7]
- "사회복지 환경변화와 지역복지 네트워크 사업의 과제" [북구/사상구 네트워크 기관장 워크샵 강연, 2008.7]
- "21C 한국 사회복지 정책의 좌표 설정" [전북대학교 뉴리더스 아카데미 강연, 2008.5]
- "지역복지 강화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역할" [경상남도 지역복지협의체 연찬회 강연, 2007.6.28]
- "사회복지프로그램에서의 기획측정" [부산시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8 배분사업설명회 특강]
- "사회복지와 인권" [서강대 신학대학원 특강, 2007.6.8]
- "지역복지와 사례관리" [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례관리실무과정 교육, 2007]
- "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과제" [도시보건지소 시범사업 발표회 강연, 2007.4. 부산대병원]
- "휴먼서비스의 성과측정" [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춘계 초청강의, 2007.3.7]
- "지역복지네트워크의 이해와 이론적 배경" [지역사회네트워크 실무자 교육, 2007.1.31-2.2, 경주 교육문화회관]
- "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발전 방향 모색" [거제시.수영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위원 합동 연찬회 강연, 2006.12.18]
- "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과 역할 모색을 위한 전략" [대전광역시사회복지관협회 워크샵 강연, 2006.12.14]
- "논리모델과 성과 측정" [사회복지공동모금회, 평가지원단 교육, 2006.11.28]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현안과 과제" [부산복지개발원 직원교육, 2006.11.1]
- "지역복지 환경 변화와 전담공무원의 자세" [부산지역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연찬회 강연, 경주, 2006.10.24]
- "사회복지관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" [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6 중간관리자 교육, 2006.7]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과 협의체의 역할" [제2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연찬회 강연, 2006.4]
- "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발전적 방향" [지역사회복지협의체 관리과정 교육,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06.3.21]
- "사회복지서비스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화된 전문직의 자세" [강서구종합사회복지관 개관12기념교육, 2006.3.20]
- "자원개발과 연계" [사회복지전담공무원 고급실무과정 교육,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, 2006.3-12]
- "지역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주체들의 역할" [사상구 민관사회복지사협의체 강연, 2005.12.21]
- "욕구조사와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과정" [보건복지인력개발원 지자체담당자 교육, 2005.12.9,15]
- "프로그램 기획: 논리모델과 성과측정" [전국청소년자활후견기관 워크샵 강연, 2005.12.12,13]
- "차별관련 인권 문제의 현황과 대응"[국가인권위원회 부산지역사무소 개소기념세미나 기조강연, 2005.12.8]
- "논리모델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과 실천" [부산시사회복지관협회 2차 워크샵 강연, 2005.12.1]
- "사회복지 환경 변화와 지역복지계의 대응"[경북사회복지협의회 워크샵 기조강연, 2005.11.2 ]
- "자원봉사 네트워크와 지역사회 임팩트" [자원봉사지도자 아카데미 강연, 포항시.포스코, 2005.10 ]
- "지역사회복지관의 전략적 방향 모색" [부산사회복지관협회 관장 워크샵 강연, 2005.10 ]
- "사회복지전문교육과 과학적 조사연구방법" [전주대학교 특강, 2005.9.28 ]
- "지역복지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" [울산시 초청 강연, 2005.9.26 ]
- "네트워크형 조직관리와 리더십" [전국대학사회복지기관협의회 2005 중간관리자교육 강의, 2005.9.8]
- "지역복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제" [울산 사회복지 중장기 발전계획 콜로키움 강연, 2005.7.21]
- "논리모델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과 실천" [부산시사회복지관협회 세미나 강연, 2005.6.24]
- "사회복지환경 변화와 지역복지 실천과제" [진해시종합사회복지관 강연, 2005.6.18]
- "사회복지환경 변화와 지역복지 실천과제" [인제대 사회복지대학원 학술세미나 강연, 2005/05/14]
- "사회복지조직 환경의 이해와 특성" [2005 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 교육, 2005/03/29]
- "노인복지시설의 효과적인 조직관리" [2005 전국노인복지시설관리자연수회 강연, 2005/03/18]
- "지역사회 서비스 네트워크" [울산 여성의전화 강연, 2004/11/26]
- "사회복지환경의 변화와 책임성" [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10주년 기념 강연, 2004/11/17]
- "Community Impact Approach in NPOs" [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비영리강의시리즈, 2004/11/12]
- "21세기 환경 변화와 사회복지의 대응" [부산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연찬회 강연, 2004.10.20]
- "사회복지행정의 기초와 지역사회복지" [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지역 공무원연수교육, 2004.6월]
- "사회복지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회복지행정" [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년도 춘계학술세미나 강연, 2004.5]
- "논리모델(logic model)과 성과측정(outcome measurement)" 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워크샵 교육, 2004.5]
- "지역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사명과 역할: 공공과의 협력관계" [부산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4 모금 workshop 강연, 2003.12]
- "휴먼서비스의 기획과 관리: 파트너십 전략"[울산시 사회복지아카데미 강연, 2003.11]
- "휴먼서비스기관의 조직관리: 인사관리의 원칙과 리더십"[부산시사회복지교육원 교육, 2003.11]
- "프로그램 기획과 욕구사정"[호남대 사회복지대학원 특강, 2003.11]
- "휴먼서비스기관의 조직관리"[전남 장성 성프란치스꼬의 집, 초청강연 2003.11]
- "프로그램 기획과 욕구사정"[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워크샵 교육, 2003 추계학술대회]
- "사회복지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회복지행정"[부산시사회복지공무원.법인관계자 교육, 2002.10.24]
- "사회복지근무자의 복지권"[대구시사회복지사협회 특강, 2002.10.18]
- "사회복지의 패러다임 변화-자선에서 복지로: 조직적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" [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특강, 2002.9.28]
- "지역사회 욕구조사방법론" [부산시지방공무원교육원 자원봉사과정 교육, 2002.8]
- "자원봉사의 이념 및 실천" [진구복지관연합회 자원봉사자 교육, 2002.7]
- "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기획: 개발, 평가, 프로포절 작성" [울산복지관연합회 교육, 2002.7]
- "효과적인 프로포절 작성" [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 실무자교육, 2002.5]
- "전략적 기획(strategic planning)" [상리복지관, 서구복지관 2002.5월 교육]
- "지역사회 욕구조사 방법" [한국자원봉사연합회, 2000-2002 자원봉사관리사 자격과정 교육]
- "자원봉사 시책" [부산시사회복지교육원, 2002.5.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관리자과정 교육]
- "사회복지 시책 및 개정법규" [부산시아동청소년회관, 2002.4 사회복지시설관리자과정 교육]
- "복지지원체계와 상담" [부산 생명의 전화, 2002 제25기 교육과정]
- "효과적인 프로포절 작성 및 프로그램 기획 전략" [2002.5. 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 실무자교육]
- "휴먼서비스 조직의 관리" [부산사회복지사협회, 2001 수퍼바이저 보수교육]
- "사회복지행정과 휴먼서비스" [부산시사회복지협의회, 2001.11. 사회복지시설관리자 교육]
- "생산적 복지의 실천방향" [부산시아동청소년회관, 2001.3 사회복지시설관리자과정 교육]
- "생산적 복지의 실천방향" [부산시사회복지교육원, 2001.8]
- "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복지공동체 구축 방안", [부산광역시영도구청 강연,2000.10]
- "복지서비스 체계 변화에 따른 지역 사회복지서비스 조직들의 과제", [부산사회복지포럼 2000, 강연], 2000.9.
- "휴먼서비스 조직의 관리 ('센터직원'을 위한 보살핌)", [제19차 한국생명의전화 전국대회 초청강연, 2000.9]
- "사회복지관의 효율적인 인사 및 조직관리 방안", [한국사회복지관협회 중간관리자 교육세미나 주제발표, 2000년 6월]
- "자원봉사자의 모집과 관리자의 역할" [부산시아동청소년회관, 1999.11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관리자 교육]
- "사회복지행정과 조직관리자의 역할" [영남복지관장협의회 연찬회 강연, 95.3]
- "자원봉사자 발굴 및 모집",[ 한국자원봉사연합회 관리자교육, 95.6.]
- "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", [경성대 무역대학원 초청강연, 95.2.3]
- "자원봉사의 이념및 실천" [95 제주자원봉사자연합교육, 95.7.23]
- "사회복지정책의 이해와 상담실무자의 역할" [부산시상담실무자교육, 1992.10]
<잡 문>
- "코비드19와 사회문제, 사회정책의 대응", 제주연구원 이슈팡, 2020.3 .
- "부산시와 다복동", 부산일보 컬럼, 2016.10.21 .
- "부산시와 다복동", 부산일보 컬럼, 2016.10.21 .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의미와 전망", 대전복지재단 Newsletter, 2014(09) .
- "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감상", 서울복지재단 Newsletter, 2013(12) .
- "한국사회복지학회지 발전을 위한 소고", 한국사회복지학회 Newsletter, 2012.(1) 창간호.
- "Social Welfare in Korea: Institutional Welfare vs. Community Welfare", アジアの福祉社會開發, 2012.3
- "영국의 지역복지", 경기복지재단 웹진, 2010.4월호
- "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 관한 단상", 부산복지개발원 웹진, 12월호, 2009.12
- "아지즈 네신의 당나귀", 경성대 교협월보, 2009.8.
- "행복학과 과학, 그리고 대학생활", 경성대신문(칼럼), 2009.3.2
- "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개정, 무엇을 위한 것인가", 부산일보(칼럼), 2009.2.27
- "사회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: 사회투자와 행복경제학", 부산복지개발원 웹진, 창간호, 2008.7
- "사회복지 현장과 교육의 선순환 구조를 위하여", Social Worker, 48호, 2006.4
- "사회복지사의 정치력 강화에 대한 변(辯)", Social Worker, 43호, 2005.11
- "사회복지사무소에 거는 기대", 부산일보(칼럼), 2004
- "복지 전성시대의 유감", 사회복지신문(칼럼), 2003.11
- "대학과 밥냄새", 경성대신문, 2003.6.4
- 소설습작 "일월산" [미발표]
- 소설습작 "무주 가는 길" [미발표]
- "노인부양과 효의식의 한계", 노인신문, 97.10월
- "아버지 자리 스스로 찾자", 부산일보(시론), 16388호
- "학교 폭력의 뿌리", 부산일보(시론) 163??호
- "사교육비의 몸통", 부산일보(시론) 163??호
- "우리 시대의 양심기록부", 부산일보(시론) 163??호
- "복지가 남의 일인가", 부산일보(시론) 16373호
- "신청학동", 교수협의회보(경성대), 8, 1995
- "On the welfare policy matters of the Pusan City Council", Yongjeon Times, 90.7.2
- "두꺼비와 지네", 경성대신문, 92.2.20
- "자선에서 복지로", 부산진구종합사회복지관, 여름호, 95.6.25
- "복지사회와 공동운명체", 사랑마을, 3, 95.8.12
- "지존파사건 -사회적생존과 공동체의식", 경성대신문, 1994.10.4
- "가을독서 유감", 경성대신문 94.10.18
- "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", 복지해운대, 1995.11
- "대학의 의미", 경성대신문 95.3.22
- "나의 대학시절", 용연문화, 27, 1995
- "미래사회와 자원봉사", 여성회관지, 1997. 1
- "지방자치와 복지문제", 부산공명선거실천협의회, 95.5.23